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건강한 라이프69

📌 의료기기 임상시험, 왜 중요할까? – 디지털 헬스 시대의 필수 절차 디지털 헬스케어, AI 의료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료기기가 단순한 장비를 넘어 첨단 IT와 융합되면서, 의료기기 임상시험의 중요성도 빠르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의료기기 임상시험의 개요부터 최신 동향까지, 한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의료기기 임상시험이란?의료기기 임상시험은 사람을 대상으로 의료기기의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는 시험입니다.👉 "의약품은 효능(efficacy) 중심, 의료기기는 성능(performance) 중심"의료기기 개발에서 임상시험이 필요한 경우는 일반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기기(Class IIb, III 등)에 해당하며, 임상시험 결과는 허가 시 필수 자료로 사용됩니다.이 과정은 의료기기를 시장에 출시하기 전 필수적인 절차로, 인체에 적용될 수 있는지 .. 2025. 6. 11.
🔍 FSP에서 내부직 전환을 노리는 전략 FSP(Functional Service Provider) 모델로 일하고 있다면, 한 번쯤은 “내부직으로 전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보셨을 겁니다.FSP는 CRO에 소속된 인력이 제약사의 내부 인력처럼 일하는 구조지만, 실제로는 외부 고용(Outsourced Resource)에 해당합니다.계약직은 아니지만 고용 안정성과 성장 기회 면에서 제약사 정규직과는 차이가 있기에, 내부직 전환은 커리어 관점에서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FSP 모델, 내부직과 뭐가 다를까?FSP(Functional Service Provider) 모델은 제약사가 특정 기능(예: CRA, DM 등)을 외부 CRO에 장기 위탁하는 방식입니다.FSP 인력은 CRO에 고용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스폰서사의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따라 .. 2025. 6. 5.
🧩 FSP CRA 실무 Q&A: 계약 해지부터 생존 팁까지, 현실 기반 정리 FSP 모델의 개념은 아래 포스팅에서 다룬 적이 있지요.이번 글에서는 실제 FSP CRA로 일할 때 자주 듣게 되는 질문과, 일하면서 마주치게 되는 ‘현실적인 상황’과 대응 팁을 담았습니다.2025.05.01 - [건강한 라이프] - 🧩 CRA도 종류가 있다? Core vs Dedicated CRA 차이 쉽게 정리! 🧩 CRA도 종류가 있다? Core vs Dedicated CRA 차이 쉽게 정리!FSP 모델이란? CRA의 Core team과 Dedicated team 차이, 장단점, 연봉, 승진 기회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FSP (Functional Service Provider) 모델은 제약사와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가 협업하여 외부 인력rosayoo.. 2025. 6. 3.
🔍 CRA는 왜 일을 그만두는가? CRA는 왜 퇴사할까? 번아웃, 조직 문화, 커리어 불안 등 실제 이직 이유와 CRA로 오래 일할 수 있는 환경 선택 전략까지 정리했습니다. CRA는 Clinical Research Associate의 약자로, 신약 개발의 최전선에서 의료기관과 제약사/CRO를 연결해 주는 핵심 직무입니다.글로벌한 감각, 꼼꼼함,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두루 갖춘 인재들이 도전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CRA들이 2~3년 사이에 이직 혹은 업계 이탈을 고민하게 됩니다.왜일까요?✅ CRA를 떠나는 5가지 주요 이유1. 번아웃(Burnout)CRA의 업무는 외근과 내근이 모두 많고, 일정 조율이 쉽지 않으며, 때로는 야근이나 주말 대응도 발생합니다.출장으로 몸은 피곤하고, 각종 보고서 작성과 내부 커뮤니케이션으로 정신도 지칩니다.신.. 2025. 5. 30.
🎯 허가임상에서 LPS(PMS/RWE)로! CRA/PM 커리어 전환, 지금이 적기? 최근 임상시험 업계에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오는 분야 중 하나는 바로 Late Phase Study (LPS)입니다.PMS(시판 후 조사)나 관찰연구, RWE(실제 진료 데이터) 기반 연구가 급증하면서, 허가임상 CRA에서 LPS 관련 CRA/PM으로의 커리어 전환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허가임상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이때, LPS 분야로의 경로 전환은 실질적이고 전략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LPS란?LPS (Late Phase Study)는 허가 후 임상을 의미합니다.이는 약물이 시장에 출시된 후, 실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물의 안전성, 효과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중요한 연구입니다.주요 연구 유형:PMS (Post-Marketing Su.. 2025. 5. 28.
🧑‍⚕️ 임상시험의 핵심,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CRC)는 어떤 일을 할까요?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CRC)는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실무적으로 운영하는 핵심 인력입니다. 주요 업무, CRA와의 협업, 커리어 발전까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CRC의 주요 업무CRC는 병원 내 임상시험센터 또는 연구부서 소속으로, 책임연구자(PI)와 협력하여 다음과 같은 업무를 담당합니다:대상자 스크리닝 및 등록: 적합한 대상자를 선별하고 등록합니다.동의서 설명 및 수령: 임상시험에 참여하기 전, 대상자에게 동의서를 설명하고 서명을 받습니다.방문 일정 조율: 대상자의 방문 일정을 조율하여 시험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합니다.시험약 복용 지도 및 확인: 대상자에게 복용 방법을 설명하고, 올바르게 복용했는지 확인하여 복약 순응도를 관리합니다.이상반응 보고: 대상자에게 발생한 이.. 2025. 5. 24.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