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86

CRA 자격증이 필요할까? 임상 연구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 싶은가요?혹은 이미 CRA(Clinical Research Associate)로 일하고 있지만, 더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인증받고 싶나요?CCRA, CCRP, 그리고 ICH-GCP 인증은 글로벌 임상 연구 분야에서 인정받는 대표적인 자격증입니다.오늘은 이 세 가지 인증의 차이점과 취득 방법, 그리고 실제 취득자의 경험담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CCRA(Certified Clinical Research Associate)란?CCRA는 CRA(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전문성을 인증하는 자격증으로,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임상 연구 업계에서도 높은 신뢰도를 자랑합니다.✅ CCRA 개요주관 기관: ACRP(Association of Clinical Research Pr.. 2025. 3. 12.
연구자 주도 임상 시험 vs. 의뢰자 주도 임상 시험 임상시험은 신약 개발과 의료기술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정으로, 시험을 누가 주도하는지에 따라 크게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Investigator-Initiated Trial, IIT)"과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Sponsor-Initiated Trial, SIT)"으로 나뉩니다.이 두 가지 임상시험 유형은 연구 목적, 운영 방식, 자금 조달 방식, 규제 절차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과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하여 비교해 보겠습니다.1.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IIT)이란?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은 병원이나 대학 등 연구기관에 소속된 연구자가 직접 기획하고 주도하는 임상시험입니다. 제약사나 바이오기업의 의뢰 없이 독립적으로 연구자가 임상 시험의 모든 과정을 주도.. 2025. 3. 11.
📢 임상시험의 혁신! 리스크 기반 모니터링(RBM) 완벽 가이드 ✅ 임상시험 필수 전략, 리스크 기반 모니터링(RBM)이란?임상시험에서 데이터의 신뢰성과 품질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기존에는 모든 임상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모니터링을 수행했지만, 리스크 기반 모니터링(Risk-Based Monitoring, RBM)은 위험 요소를 선별적으로 관리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입니다.즉, 고위험 데이터에 집중하고 저위험 데이터에는 최소한의 리소스를 투입하여 비용 절감과 데이터 품질 향상을 동시에 실현하는 스마트한 모니터링 방식입니다.🎯 왜 리스크 기반 모니터링(RBM)이 필요할까?기존의 임상시험 모니터링 방식은 소스 데이터 검증(Source Data Verification, SDV)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중요한 리스.. 2025. 3. 10.
📝 외국계 회사의 언어 장벽: 미팅은 영어, 내 생각은 한국어? 🚀 외국계 회사에서 '언어 장벽'을 느끼는 순간들여러분 필자는 CRA로 시작으로 임상시험 업계에서 10년 이상 근무하고 있습니다.현재는 global CRO에서 PM(Project Manager)으로 업무하고 있어요.오늘은 외국계 회사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은 경험해 봤을 '언어 장벽'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저도 여전히 '영어'라는 허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요. 👉 미팅은 영어로 진행되지만, 내 머릿속 생각은 한국어로 떠오르는 순간!이럴 때마다 머릿속에서 자동번역기를 돌리느라 정신이 없습니다.실제로 많은 한국 직장인들이 외국계 기업에서 일하면서 언어 장벽을 겪는다고 해요.단순히 영어 실력이 부족한 게 아니라,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 빠르게 사고하고 소통하는 것이 어렵기.. 2025. 3. 10.
📌CRA 필수 문서 체크리스트: 모니터링 방문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항목 1. CRA가 모니터링 방문 시 문서를 철저히 확인해야 하는 이유임상시험의 성공적인 진행과 규정 준수를 위해, CRA(Clinical Research Associate)는 모니터링 방문 시 다양한 필수 문서를 검토해야 합니다.이러한 문서들은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와 피험자의 안전 보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국제 가이드라인(ICH-GCP)과 각국의 규제 요건(FDA, EMA 등)에 따라 철저하게 관리되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CRA가 모니터링 방문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주요 문서 15가지를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2. CRA 모니터링 방문 시 필수 문서 15가지✅ 1) 연구계획서(Protocol)임상시험의 설계, 목적, 방법론 등이 상세히 기술된 문서입니다.📌 CRA가 확인해야 할 사항:✔ 최신 .. 2025. 3. 9.
CRA 이직 성공 가이드: 합격률을 높이는 실전 노하우 1. CRA 이직, 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할까?임상시험 분야에서 CRA(Clinical Research Associate)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하지만 이직을 준비할 때 막연하게 지원만 하면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회사마다 요구하는 역량이 다르고, 신입과 경력자의 이직 전략도 다르기 때문이죠. 💡 CRA 이직을 고민하는 이유는?✅ 더 좋은 연봉과 복지 (연봉 상승, 보너스, 베네핏 등)✅ 다양한 치료 영역 경험 (Oncology, Cardiology 등 therapeutic area)✅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기회✅ 워라밸 개선 (출장, 업무 강도 조정)그렇다면, 이직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2. CRA 이직 성공을 위한 5단계 전략📌 1) 맞춤형 이력서 & 자기소개서 준비하.. 2025. 3. 8.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