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라이프

연구자 주도 임상 시험 vs. 의뢰자 주도 임상 시험

by RosaYoon 2025. 3. 11.
728x90
반응형
SMALL

임상시험은 신약 개발과 의료기술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정으로, 시험을 누가 주도하는지에 따라 크게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Investigator-Initiated Trial, IIT)"과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Sponsor-Initiated Trial, SIT)"으로 나뉩니다.

이 두 가지 임상시험 유형은 연구 목적, 운영 방식, 자금 조달 방식, 규제 절차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과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하여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IIT)이란?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은 병원이나 대학 등 연구기관에 소속된 연구자가 직접 기획하고 주도하는 임상시험입니다. 

제약사나 바이오기업의 의뢰 없이 독립적으로 연구자가 임상 시험의 모든 과정을 주도하며, 연구 목적과 방향을 독립적으로 설정하여 수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의 특징

연구 목적: 신약 개발보다는 기존 치료법 개선, 새로운 치료법 탐색, 기초 연구 강화 목적이 많음
자금 조달: 정부 연구비, 학술 재단, 병원 내부 기금 등에서 지원
운영 주체: 연구자가 직접 시험을 설계, 진행 및 분석
규제 준수: IRB(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 필요, 규제 기관의 관리 감독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의 장점

임상현장 중심 연구 가능 →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연구 주제 선정 가능
제약사의 이익에서 자유로움 → 연구자의 학문적 목적을 중심으로 연구 진행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가능 → 신약 개발보다 현실적인 연구가 가능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의 단점

자금 확보가 어렵다 → 연구비 지원이 한정적이고 경쟁이 심함
연구 관리 부담 → 연구자가 직접 데이터 수집, 분석까지 해야 하므로 행정적 부담 큼
신약 개발까지 연결이 어려움 → 신약 허가보다는 기초 연구 수준에서 멈추는 경우 많음

SMALL

2.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SIT)이란?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은 제약사, 바이오 기업 등 스폰서(의뢰자)가 연구를 기획하고 주도하는 임상시험입니다. 신약 개발 및 허가를 목표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의 특징

연구 목적: 신약 개발 및 허가 획득이 주요 목표
자금 조달: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의 투자
운영 주체: CRO(임상시험수탁기관)나 연구기관에 의뢰하여 임상시험 진행
규제 준수: 식약처(FDA, EMA 등) 승인 및 임상시험 규정 준수 필수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의 장점

자금 조달이 원활함 → 제약사 및 투자사의 적극적인 지원
신약 허가 및 상업화 가능성 높음 → 실제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가능성 큼
전문적인 임상시험 운영 가능 →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의 전문적인 관리 가능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의 단점

기업의 이익 중심 연구 가능성 → 상업적 이익이 우선시될 가능성 있음
연구 유연성이 낮음 → 규제 절차가 많고 연구 방향 수정이 어려움
임상시험 비용이 높음 → 신약 개발을 위한 대규모 비용이 필요


3. 연구자 주도 vs.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 비교

구분연구자 주도 임상시험 (IIT)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 (SIT)

연구 목적 치료법 개선, 기초 연구 신약 개발 및 허가
주체 연구자가 직접 기획 및 운영 제약사, 바이오 기업
자금 조달 정부 지원, 학술 기금 기업 투자, 벤처 캐피탈
운영 방식 연구자가 직접 수행 CRO 또는 연구기관 위탁 운영
규제 절차 IRB 승인 필요 FDA, 식약처 등 규제 기관 승인 필수
장점 연구 자유도 높음, 현실적인 연구 가능 신약 개발 및 상업화 가능성 높음
단점 연구비 조달 어려움, 행정 부담 큼 비용 부담 큼, 상업적 연구 가능성

 

 


4. 어떤 유형의 임상시험이 더 적합할까?

💡 기존 치료법을 개선하거나 기초 연구를 하고 싶다면? →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IIT)
💡 신약 개발 및 허가를 목표로 한다면? →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SIT)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은 기존 치료법의 개선이나 새로운 치료법 탐색에 유리하고,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은 신약 개발 및 허가를 목표로 하는 경우 적합합니다.


결론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과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은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며, 연구 목적과 자금 조달 방식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임상시험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유형의 연구가 균형 있게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며, 연구자가 자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과 제약사의 적극적인 지원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728x90
반응형
SMALL